2025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리포트
2025. 5. 26.
3년 전,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역사상 유례없는 성장세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2021년은 팬데믹으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수익원을 모색하던 해였고,
이로 인해 크리에이터 중심 플랫폼들이 급부상했습니다.
그 해, 총 11개의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기업이 유니콘(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으로 등극하며 이 흐름의 정점을 찍었습니다.
2022년에는 Web3가 새로운 동력으로 부상했습니다.
NFT, 토큰 기반 보상 시스템 등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창작자-팬 관계 강화 플랫폼이 확산되며,
크리에이터에게 더 많은 자율성과 소유권을 제공하는 흐름이 자리잡았습니다.
2023년은 생성형 AI의 부상과 커뮤니티 중심의 창작 문화가 결합하며 또 한 번의 전환점을 만들었습니다.
2024년에도 이 흐름은 이어졌으며, 2025년은 그 연장선 위에서 AI, 팬과의 커뮤니티 연결, 수익 다각화가 가장 핵심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본 리포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만나실 수 있습니다:
1장: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란 무엇인가?
2장: 오늘날의 크리에이터 생태계
3장: 주목해야 할 180개 이상의 크리에이터 스타트업
4장: 펀딩 및 유니콘 현황
5장: AI – 크리에이터의 판을 바꾸는 게임 체인저
6장: 2025년 크리에이터들의 도전 과제
7장: 새로운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 2025년 트렌드
8장: 2025년 크리에이터가 성공하는 최고의 방법
9장: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계속될 것인가?
1장: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란 무엇인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2억 명이 넘는 사람들이 자신만의 콘텐츠와 개성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 거대한 디지털 생태계입니다.
이는 단순히 SNS에 콘텐츠를 올리는 것을 넘어,
팬들과의 관계를 통해 교육, 유료 멤버십, 전자상거래, 구독 모델 등으로 연결되는 새로운 경제 시스템입니다.
대표적인 플랫폼으로는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 트위치뿐 아니라,
강의·커뮤니티 중심의 Mighty Networks, 라이브클래스 등도 포함됩니다.
미술, 도자기, 천체 관측 등 초개인화된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수익 모델도 급성장 중입니다.
Z세대의 70%가 크리에이터를 선호 직업으로 꼽으며, 누구나 스마트폰 하나로 시작할 수 있는 기회의 문이 활짝 열렸습니다.
시장 조사에 따르면, 2027년까지 크리에이터 경제의 규모는 현재의 두 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즉, 이코노미의 중심은 브랜드가 아니라 ‘사람’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아직 도전해보지 않았다면, 지금이 바로 그 시작점입니다.

2장: 크리에이터 생태계의 현재와 미래
최근 몇 년간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급격한 성장과 함께 복잡한 변화를 겪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기폭제 역할을 하며 급부상했지만, 그 이후엔 번아웃, 플랫폼 수수료 문제, AI와 저작권 등 새로운 과제가 연이어 등장했습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2025년 크리에이터의 핵심 키워드는 세 가지입니다:
AI를 통한 창작 및 운영 효율화
커뮤니티 중심의 연결과 관계
수익 다각화
이 세 가지는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를 뒷받침하는 새로운 성장 동력입니다.
🌐 크리에이터, 이제는 대중이자 전문가
크리에이터가 되는 진입 장벽은 갈수록 낮아지고 있습니다.
전업이든 부업이든, 이제 대부분의 사람들이 크리에이터적 삶을 경험하게 됩니다.
특히 창업가적 야망과 경제적 독립을 중시하는 Z세대에겐 크리에이터가 가장 매력적인 커리어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2025년, 크리에이터는 마치 TV 채널처럼 운영될 것입니다. 브랜드, 에이전시, 방송사 그 이상의 영향력을 갖게 되죠.”
— 사이먼 스퀴브(Simon Squibb)
📈 변화의 12개월: AI와 글로벌화
AI 도구 활용률: 18개월 전 33% → 지금은 92%의 크리에이터가 사용 중
AI 번역 & 더빙 기술로, 처음부터 글로벌 오디언스를 상대로 콘텐츠를 배포 가능
영상 편집 시간 단축: 몇 시간이던 작업이 몇 분으로 줄어듦
과거엔 글로벌 확장이 수년 걸렸지만, 이제는 ‘첫날부터 글로벌’ 이 현실이 되었습니다.
🧭 변화의 핵심 사례들
1. 신규 스타트업 수의 감소
크리에이터를 위한 새로운 스타트업 수가 줄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시장이 정체된 것이 아니라,
무분별한 자본 유입 후 재편이 일어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도태를 통한 통합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살아남은 기업들은 더 건강한 환경에서 경쟁하게 될 것입니다.”
— 가간 비야니, Maven 공동창업자
2. 백악관도 주목한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백악관 디지털 전략실은 처음으로 크리에이터 생태계 관계자 100명을 초청해 주요 이슈(AI, 프라이버시, 정신건강 등)를 논의했습니다.
이는 크리에이터가 단순한 콘텐츠 제작자가 아닌, 사회적 영향력을 가진 집단임을 인정한 상징적 사건이었습니다.

3. 뉴스레터 작가의 급증
기존 미디어에 대한 불신 증가 (64%가 기자 불신)
‘나와 비슷한 사람’에게 정보를 얻고 싶다는 욕구 (74%)
니치 지식 기반 뉴스레터는 앞으로 더욱 성장할 전망입니다.

“지금이야말로 자신만의 콘텐츠와 니치 오디언스를 만들 최고의 시기입니다.”
— 벤 카마라(Ben Camara), KLIQ 창업자
4. 콘텐츠 → 커머스 → 브랜드 전환
Linktree, Plann 인수로 콘텐츠 관리와 수익화가 더 쉬워졌습니다. 크리에이터는 이제 퍼스널 미디어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자체 브랜드 출시, SaaS 창업 등 비즈니스 모델의 다각화가 활발합니다.
“공간을 주는 것만으론 충분하지 않습니다. 콘텐츠, 데이터, 수익화를 크리에이터가 통제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암라팔리 간, 전 OnlyFans CEO
다음 장에서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를 이끄는 180개 이상의 주요 스타트업과 그 분류를 살펴보겠습니다.
3장: 주목해야 할 180개 이상의 크리에이터 스타트업
크리에이터 이코노미가 급속도로 진화하면서, 이를 뒷받침하는 스타트업 생태계도 빠르게 확장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리포트에서 전 세계 180개 이상의 초기 단계 크리에이터 스타트업을 세 가지 주요 카테고리로 정리했습니다.
🔍 세 가지 주요 분류
생성형 AI(Gen AI) 도구: 콘텐츠 생성, 번역, 편집 등 창작 효율을 높이는 도구들
커뮤니티·수익화·비즈니스 지원 플랫폼: 강의, 커뮤니티, 유료 콘텐츠 운영을 돕는 SaaS 플랫폼
버티컬(Vertical) 크리에이터 플랫폼: 음악, 게임 등 특정 분야에 특화된 플랫폼들
⚠️ 유의사항
스타트업 분류는 각 사의 공식 웹사이트 자기소개를 기준으로 정리되었습니다.
선정 기준은 5,000개 이상의 스타트업 DB, 2,000명 이상의 VC 추천, 정성적 시장 조사 등을 기반으로 했습니다.

🌍 어디에서 가장 활발한가?
미국이 여전히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스타트업의 중심지입니다.
그 뒤를 영국과 이스라엘이 잇고 있으며,
이런 현상의 배경에는, 영향력 있는 크리에이터의 상당수가 미국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 분야에 투자하는 투자자와 크리에이터 중심 플랫폼 및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인재들 역시 대부분 미국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4장: 유니콘과 투자 유치 현황
비록 2024년에는 신규 크리에이터 스타트업의 수가 감소했지만,
여전히 몇몇 기업은 유니콘(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의 반열에 올랐습니다.
특히 AI 기반 플랫폼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대표 유니콘 기업
2020년 기준: 11개 유니콘 기업이 존재
2020년 이후 추가된 유니콘: Clubhouse, MasterClass, Cameo, OpenSea, Axie Infinity, Spotter, Linktree, Domestika, Jasper, Runway, Anthropic, ElevenLabs, OpenAI 등 총 13개 기업
미국 본사 비율: 전체 유니콘의 약 95%
AI 기반 플랫폼 비율: 신규 유니콘의 약 46%

💸 2024년 상반기 투자 흐름 요약
미국 내 크리에이터 스타트업 투자 유치: 2분기 기준 6억 9,270만 달러, 전년 동기 대비 68% 증가
글로벌 투자 유치 총액: 약 7억 6,790만 달러, 전년 대비 49% 증가
3분기 미국 투자금: 전년 대비 16% 감소, 2억 5,310만 달러

출처: The Information
📈 왜 다시 반등했을까?
VC들은 여전히 생성형 AI가 크리에이터를 위한 서비스 혁신의 중심이 될 것이라 보고 있습니다.
특히 “영상 편집 자동화”, “글로벌 배포 번역 엔진”, “커뮤니티 운영 자동화” 등의 기능이 현실화되면서,
크리에이터 SaaS 시장은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앞으로 누가 투자하고 있으며, 어떤 기업이 유니콘 반열에 오를지— 5장에서는 이 변화의 중심에 있는 AI를 본격적으로 다룹니다. ⬇️

5장: AI – 크리에이터의 판을 바꾸는 게임 체인저
지난 2년간 AI는 크리에이터뿐만 아니라 전체 테크 생태계에 강력한 파급 효과를 미쳤습니다. 💥
2024년 생성형 AI 생태계 리포트에 따르면,
현재 분기별 전체 벤처 투자금의 **30%**가 AI 스타트업에 집중되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유행이 아닌,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AI는 이제 크리에이터에게 있어 필수 역량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AI의 빠른 진화는 크리에이터들에게 다음과 같은 불안 요소도 안겨주고 있습니다:
내 콘텐츠가 AI에 의해 무단 활용될 수 있다는 우려
내 목소리나 얼굴이 허락 없이 복제될 수 있다는 위험
AI 흐름을 따라가지 못할까 두려운 부담감
“AI가 제 워크플로우를 단순화해주면서, 저는 더 창의적인 영역에 집중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하지만 AI는 ‘보조자’이지 ‘대체자’가 되어선 안 됩니다.”
— 줄리어스 딘(Julius Dein), 크리에이터
✅ 크리에이터는 AI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
1. 🌍 즉각적인 글로벌화
이전에는 글로벌 시장 진입이 어려웠지만, 이제는 ElevenLabs, Dubverse, Murf 등의 플랫폼 덕분에 다국어 콘텐츠가 쉬워졌습니다.
“다국어 오디오 트랙 덕분에, 운영 중인 채널 일부의 월 조회수가 무려 400% 증가했습니다.”
— 마리오 주스(Mario Joos), 크리에이터
2. 🤝 더 풍성한 커뮤니티 구축
팬과의 깊은 관계 구축은 여전히 도전 과제지만,
Mighty Networks와 같은 플랫폼과 AI 챗봇, 음성 합성, 아바타 도구의 도움으로 스케일 있는 소통이 가능해졌습니다.
“수백만 팬에게 실시간 대응은 불가능하지만, AI는 그 간극을 메워줍니다.”
— 조쉬 콘스틴(Josh Constine), SignalFire 파트너
3. 🎨 이미지 및 영상 생성
런웨이, 미드저니 등 AI 툴은 이미지·영상 제작을 자동화할 뿐 아니라, 영감을 주는 도구로도 활약합니다.
“브레인스토밍에서 정리까지, ChatGPT는 제 창작 과정의 코파일럿입니다.”
— 제니퍼 카시르(Jennifer Kassir), 크리에이터
4. 🧠 생산성 향상
급여, 인사, 콘텐츠 제작까지 전방위로 스스로 처리해야 하는 크리에이터에게, OpenAI 기반 생산성 도구는 큰 힘이 됩니다.
“AI 덕분에 일정을 더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에 더 많은 시간을 쓸 수 있어요.”
— 논스 미라지(Nons Miraj), 크리에이터
🌐 MrBeast가 보여준 다국어 채널의 가능성
MrBeast는 이제 영어뿐만 아니라, 스페인어, 러시아어, 포르투갈어 채널까지 운영하며 전 세계 오디언스를 확보했습니다.
이런 흐름은 2025년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 AI 도구 사용에 대한 보호장치 요구
AI 도구의 범용화로 인해,
크리에이터들은 콘텐츠 무단 재생산 방지, 음성/이미지 도용 방지를 위한 플랫폼 차원의 보호 기능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이러한 기능의 투명한 공개와 보장이 핵심 이슈가 될 것입니다.
“AI는 조금 무섭기도 하지만, 직접 써보면 놀라울 정도로 도움이 돼요.”
— 헤일리 웰치(Haliey Welch), Hawk Tuah, 크리에이터
6장: 새로운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 2025년 8대 트렌드
2025년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내년을 정의할 8가지 핵심 트렌드를 소개합니다.
1. 🧠 크리에이터의 AI 활용 역량이 한층 높아진다
수백 개의 다양한 플랫폼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시대,
크리에이터들은 AI를 어떻게 활용할지 스스로 학습하거나, 다른 이들에게 배워야 합니다.
자신의 목소리 톤이나 팬에게 가장 적합한 썸네일 유형 등, AI 모델을 어떻게 훈련시킬지 고민해야 하죠.
앞으로 플랫폼들은 크리에이터가 이를 쉽게 익힐 수 있도록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AI 도구가 크리에이터의 콘텐츠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더욱 투명하게 공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 크리에이터는 시작부터 글로벌을 지향한다
AI 플랫폼이 대중화되기 전부터,
우리는 크리에이터가 자신의 목소리로 콘텐츠를 다양한 언어로 바꾸는 것이 얼마나 큰 임팩트를 주는지 여러 차례 강조해왔습니다.
이제는 이 기능이 현실이 되었고, 완벽하진 않지만 대부분의 크리에이터가 ‘로컬’이 아닌 ‘글로벌’ 콘텐츠 유통을 고민하게 될 것입니다.
앞으로 1년간 뉴스레터 플랫폼들도 더 많은 크리에이터가 자신의 글을 여러 언어로 번역해 도달 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지원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뉴스레터 New Economies는 5만 6천 명의 구독자 대부분이 영어로 콘텐츠를 소비하지만, 중국어, 프랑스어, 힌디어, 스페인어, 베트남어 등 다양한 언어로의 번역 요청이 늘고 있습니다.
3. 🎯 전문성 있는 크리에이터의 부상
전 세계 수백만 명의 크리에이터가 시청자의 관심을 두고 경쟁하는 시대,
앞으로 새롭게 등장하는 크리에이터들은 특정 분야(니치)에 집중해,
충성도 높은 팬을 만들고 각 분야의 최고가 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하이퍼니치 크리에이터의 등장이 매우 기대됩니다.
앞으로 크리에이터로 성공하려면 자신만의 니치를 개척하고 소유해야 하며, 내년에는 이런 트렌드가 더욱 두드러질 것이라 확신합니다.”
— 올리 포사이스(Ollie Forsyth), New Economies
4. 🎓 AI 기반 맞춤형 학습 경험의 성장
AI를 활용하면 크리에이터는 창의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습니다.
이런 도구들은 작업의 품질과 효율성을 높일 뿐 아니라,
더 몰입감 있는 인터랙티브 콘텐츠, 다양한 언어, 사용자 맞춤형 타겟팅 등으로 팬과의 관계도 강화할 수 있습니다.
“AI가 이끄는 맞춤형 학습 경험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교육이 더 흥미로워지고, 정신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도 커질 것입니다.”
— 줄리어스 딘(Julius Dein), 콘텐츠 크리에이터
5. 🇮🇳 인도와 인도네시아의 잠재력
인도에는 약 8천만 명(전체 인구의 약 5%)의 크리에이터가 있고,
인도네시아에는 1,200만 명의 크리에이터가 있어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콘텐츠를 생산합니다.
인도에서 틱톡이 금지된 이후, 크리에이터들이 새로운 오디언스를 찾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어 해당 생태계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여기에 한국, 일본, 태국도 주목해야 할 경쟁력 있는 크리에이터 생태계로 부상 중입니다.
“인도네시아와 인도—두 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 중 하나입니다. 이 인구 규모가 수백만 명의 성공적인 크리에이터가 중소기업(SMB)으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는 점을 많은 이들이 과소평가한다고 생각합니다.”
— 제흐라 나크비(Zehra Naqvi), Headline Ventures 투자자
6. 🚀 크리에이터의 창업가化
크리에이터가 일정 규모의 팬을 확보하면, 다양한 서비스나 제품 라인을 출시해 수익원을 다각화할 수 있는 엄청난 기회가 생깁니다.
이들은 이미 큰 팬층과 신뢰를 쌓았기 때문에, 팬들은 이들이 내놓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기꺼이 구매합니다.
“앞으로 더 많은 크리에이터가 e커머스부터 SaaS까지, 팬 데이터를 활용해 수요가 높은 상품을 직접 출시하는 모습을 기대합니다.
이는 수익 다각화뿐 아니라, 크리에이터가 콘텐츠 제작을 넘어 진정한 창업가로 성장하는 길이기도 합니다.”
— 루카스 룬테(Lukas Runte), Everbloom 공동창업자
7. 💬 커뮤니티, 커뮤니티, 커뮤니티
앞으로도 커뮤니티는 크리에이터 성공의 핵심 동력이 될 것입니다.
팔로워가 늘어나면, 팬들은 크리에이터와 정기적으로 소통하고 싶어 합니다.
Mighty Networks 같은 플랫폼에서 커뮤니티를 만들거나, 멤버 전용 이벤트·굿즈 증정 등으로 팬과의 접점을 넓힐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운영의 가장 큰 어려움은 시간 부담과 팬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방법을 찾는 것입니다.
만약 크리에이터가 이 ‘마법의 공식’을 찾는다면, 누구도 복제할 수 없는 자신만의 강력한 커뮤니티 자산을 빠르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는 콘텐츠도, 오디언스도, 포럼도 아닙니다.
커뮤니티란 멤버들이 서로 관계를 맺으며 즉각적인 가치를 얻고, 새로운 기회를 발견하며,
혼자서는 절대 얻을 수 없는 결과를 함께 이루는 공간입니다.”
— 지나 비안치니(Gina Bianchini), Mighty Networks 창업자
8. 📺 롱폼(장문) TV 형태의 콘텐츠의 부상
전통 TV 시청률이 계속 하락하면서, 유튜브·틱톡 같은 숏폼 플랫폼과 넷플릭스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로 시청자가 이동하고 있습니다.
2024년 8월 워너브라더스 디스커버리가 TV 네트워크 가치에서 90억 달러를 감액한 것은 이러한 변화를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심지어 TV를 보더라도, Z세대의 85%는 모바일 기기로 인플루언서 반응을 함께 확인하며 시청합니다.
이런 새로운 TV 시대에, 크리에이터는 ‘새로운 TV 채널’이 될 잠재력을 갖고 있습니다.
예전처럼 매주 새로운 에피소드를 기다리던 시절처럼, 크리에이터들은 일정한 주기로 롱폼 영상을 업로드하며 팬과 소통합니다.
AI 덕분에 이제 고품질 콘텐츠를 며칠이 아닌 몇 시간 만에 제작할 수 있고, 전 세계에 즉시 배포할 수 있습니다.
“2025년에도 계속될 가장 흥미로운 트렌드는 TV용 롱폼 콘텐츠와 AI 도구입니다.
특히 유튜버들이 TV에 최적화된 긴 영상을 제작해 큰 성공을 거두고 있습니다.
긴 영상을 흥미롭게 제작·편집하는 건 쉽지 않지만, AI 도구가 그 부담을 덜어주고 있으며, 2025년 이후로도 AI의 발전은 가속화될 것입니다.”
— 브렌던 알퍼(Brendan Alper), Everbloom 공동창업자

7장: 2025년 크리에이터들이 마주할 도전과제
2025년, 더 많은 크리에이터들이 등장하고 글로벌 오디언스와의 연결이 확대되는 지금, 크리에이터들은 단순한 콘텐츠 생산을 넘어 ‘비즈니스의 확장’이라는 새로운 챕터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성장에는 언제나 도전이 따릅니다. 아래는 크리에이터들이 실제로 직면하고 있는 주요 과제들입니다.
🧩 팀 확장의 어려움
10만 달러 이상의 연 수익이 발생하기 전까지, 크리에이터가 팀을 꾸리는 건 현실적으로 쉽지 않습니다. 단순한 업무 분담을 넘어, 크리에이터의 비전을 이해하고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인재를 찾는 게 핵심이죠.
“팀을 확장하는 게 정말 어렵습니다. 역량 있는 인재는 대부분 이미 자신만의 브랜드를 키우고 있거나, 크리에이터가 아닌 사람은 이 세계에 적응하기 어렵더라고요.”
— 클로이 시(Chloe Shih), 크리에이터
🧭 나만의 니치 찾기
AI로 인해 콘텐츠 제작은 더욱 쉬워졌지만, 이는 곧 시장의 포화 상태를 의미합니다.
크리에이터들은 더 이상 대중적 콘텐츠로 승부할 수 없으며, 자신만의 독창적인 니치와 알고리즘 친화적인 콘텐츠 전략이 필요합니다.
“알고리즘은 계속 바뀝니다. 우리는 그 흐름을 따라가야 하고, 그 안에서 나만의 자리를 찾아야 하죠.”
— 아유미 나카지마(Ayumi Nakajima), Pinterest APAC 콘텐츠 총괄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전환
팬데믹 동안 급성장한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이제는 코로나 이후 시대에 적응하는 전환점에 와 있습니다. 진정한 지속 가능성을 위해 크리에이터들은 새로운 수익모델을 고민하고, 기존 모델을 리빌딩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팬데믹 특수’가 아닌 진짜 비즈니스로 전환해야 할 시점입니다.”
— 가간 비야니(Gagan Biyani), Maven 공동창업자
🧠 번아웃과 이탈
‘내가 곧 브랜드’인 크리에이터는 콘텐츠 제작뿐 아니라 마케팅, 운영, 디자인까지 모두 책임집니다.
이로 인한 정신적 압박은 장기적인 창작 활동의 걸림돌이 됩니다.
“올해 건강 관리를 시작하면서 콘텐츠 퀄리티도 확실히 달라졌어요. 지속 가능한 창작을 위해선 ‘나 자신’이 먼저입니다.”
— 제니퍼 카시르(Jennifer Kassir), 크리에이터
8장: 2025년 크리에이터가 성공하는 방법
2025년, 크리에이터는 더 이상 단순한 1인 미디어가 아닙니다.
이들은 미디어 브랜드이자 창업가이며, 플랫폼과 파트너십을 맺고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해나가는 핵심 주체입니다.
이 장에서는 크리에이터의 성공을 가속화하는 대표 플랫폼 네 곳을 소개합니다.
🎓 Liveklass — 지식을 비즈니스로 바꾸는 D2C 크리에이터 플랫폼
라이브클래스는 누구나 자신의 강의, 콘텐츠,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나만의 브랜드 사이트’를 만들고, 비즈니스로 확장할 수 있는 올인원 플랫폼입니다.
강의, 멤버십, 커뮤니티, 자동화 마케팅까지 한 곳에서 가능합니다.
“크리에이터는 더 이상 플랫폼의 콘텐츠 공급자가 아닙니다.
우리는 크리에이터가 ‘나만의 공간’에서 팬과 연결되고,
진짜 비즈니스를 만들어갈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 신철헌, 라이브클래스 CEO

🤝 Mighty Networks — 커뮤니티 기반 수익화
페이스북 그룹을 대체할 차세대 커뮤니티 플랫폼 Mighty Networks는
강의, 멤버십, 이벤트까지 통합 운영이 가능한 툴입니다.
커뮤니티의 활성도와 갱신율 면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7일 내 100% 재방문율, 참여율 3배 상승. 페이스북을 넘는 커뮤니티 경험은 현실입니다.”
— Mighty Networks 커뮤니티 호스트
🎨 CLASS101 — 누구나 시작할 수 있는 온라인 클래스 플랫폼
클래스101은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도록”이라는 슬로건 아래
누구나 강사가 되어 지식과 취미를 수익으로 전환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온라인 클래스를 다양한 카테고리로 확장하여 마켓플레이스 형태로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최근에는 구독상품을 추가하여 수강생들에게 더 다양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회사 끝나고 집에 오면 그냥 누워만 있었는데,
클래스101을 듣고 나선 하루가 기다려졌어요.
퇴근 후 30분, 오직 나만을 위한 시간이 생겼습니다.”
— 클래스101 수강생 후기 중에서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 한국형 서브스택의 진화, 창작자 수익모델의 대안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는 ‘포털 중심 뉴스 생태계’에 머물렀던 네이버가
크리에이터 중심 콘텐츠 시장으로 확장하며 선보인 전략적 전환점입니다.
단순 뉴스 큐레이션을 넘어,전문성과 팬 기반을 가진 창작자가 유료 구독 기반으로 수익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췄으며,
이는 글로벌 트렌드인 “Direct-to-Reader” 모델에 대한 네이버식 해석이라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마지막 장,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의 미래에 대한 인사이트입니다.
9장: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계속될 것인가? 📈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결코 사라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통합과 재편의 과정을 거치며 더욱 성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크리에이터가 될 것이며, 시장 규모는 2027년까지 두 배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동시에, 새로운 형태의 혁신이 등장하면서 더욱 흥미로운 크리에이터와 창업가 세대가 탄생할 것입니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기존의 게이트키퍼 없이도 개인이 자신의 열정을 수익화할 수 있게 해줍니다.
직접 소통과 커뮤니티 구축을 강화하는 플랫폼이 성장할 것이며, 우리는 팬들과 더욱 진정성 있게 연결될 수 있습니다.
또한, 유연한 수익화 옵션이 지속 가능한 수입을 원하는 더 많은 크리에이터를 끌어들일 것입니다.”
— 줄리어스 딘(Julius Dein), 크리에이터
💡 다가오는 1년, 주목할 변화들:
브랜드 론칭: 더 많은 크리에이터들이 자신만의 브랜드를 시작하게 됩니다.
AI 영향력 확대: 크리에이터의 작업 방식과 유통 전략에 AI가 더 깊이 스며들 것입니다.
글로벌 지향: 시작부터 전 세계 시장을 고려하는 전략이 보편화됩니다.
규제 강화: 크리에이터의 콘텐츠가 대형 언어모델에 사용되는 것에 대한 규제 논의가 활발해질 것입니다.
신규 유니콘 탄생: 특히 AI 기반 플랫폼에서 새로운 유니콘이 등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제는 전문화와 다각화의 시대입니다.
크리에이터들은 점점 자신을 미디어 기업으로 인식하고, 유튜브, 틱톡, 인스타그램 등은 마케팅과 유통 채널로 바라봅니다.
더 많은 크리에이터가 지원팀을 구축하고, 수익원을 다각화하며, 자신의 비즈니스에 대한 ‘엑시트(매각 또는 상장)’까지도 고민하게 될 것입니다.”
— 짐 라우더백(Jim Louderback), Inside the Creator Economy 편집장
크리에이터 이코노미는 이제 단순한 유행이 아닌 새로운 산업 구조입니다.
창작자 한 명 한 명이 곧 브랜드이고, 플랫폼이며, 사업입니다.
2025년을 기점으로 우리는 진정한 ‘크리에이터 시대’의 다음 챕터를 맞이하게 될 것입니다. 🚀
본문출처: NEW ECONOMIES